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올해 첫 성적표를 받아든 가운데, 시장의 반응은 냉담하다. '침체의 늪'이라는 평가처럼, 올해 역시 석유화학 기업들의 앞날은 불투명해 보인다. "끝이 보이지 않는다", "돌파구가 마땅치 않다"는 업계의 한숨은 깊어지고 있다. 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등 신규 사업을 통해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의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에도 '타이밍' 놓쳐
업계는 지난해 말 정부가 발표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기대를 걸었다. 자구책만으로는 한계에 봉착했다고 판단한 기업들이 먼저 정부에 도움을 요청한 결과였다. 하지만 정책 추진의 '타이밍'이 아쉬웠다. 비상계엄, 탄핵 정국, 그리고 이어진 대선으로 인해 후속 대책 논의는 지지부진하게 이어졌다. 그 사이 국제 유가 급등락과 주요 교역국의 경제 둔화가 겹치면서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했다. 결국 국내 최대 석유화학 산업단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늑장 대책에 업계 '속앓이'…새 정부 출범 이후 기대
현재까지 구체적인 정부 차원의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지난달 한국화학산업협회가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설팅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지만, 조기 대선 일정 등으로 인해 상반기 내에 실질적인 대책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업계 관계자는 "새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는 뚜렷한 대책 발표가 어려울 것"이라며 "사실상 하반기에나 구체적인 내용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토로했다.
'자율 사업 재편' 놓고 정부와 업계 '동상이몽'
정부와 업계는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 극복 방안을 놓고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기업 간의 통합이나 과감한 구조조정 등을 해법으로 제시하는 반면, 정부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사업 재편을 강조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는 각 기업에 자율적으로 사업 재편 방향과 실행 계획을 마련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합작 법인 설립, 사업 매각 또는 청산 등의 방안을 포함한다.
하지만 기업들은 이러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각 기업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상황에서 자율적인 사업 재편에만 맡긴다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재무 건전성 개선이 시급한 일부 기업들은 결국 사업 매각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의 워터솔루션 사업 부문 매각 추진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경쟁력 강화 위한 실효성 있는 정부 대책 '절실'
결국 각 기업의 자체적인 경쟁력 강화 노력만으로는 현재의 침체 국면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기업들의 자구 노력과 더불어 석유화학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정부의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어느 정권이 들어서든,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 결단이 요구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은 왜 자국 석유를 외면하는가? 당신이 몰랐던 미국의 에너지 정책 미스터리! (0) | 2025.06.14 |
---|---|
한국 석유화학, 이대로 무너지나? 위기 속에서 피어나는 혁신, 석유화학의 새로운 미래? (1) | 2025.06.12 |
멈춰선 연준의 시계, 2025년 금리 인하 기대 속 모기지 시장 '안갯속' (1) | 2025.05.17 |
꼼꼼한 준비로 세금 부담 없이 자녀에게 5억 증여하는 스마트한 방법 (3) | 2025.05.08 |
관세 폭탄, 소비자의 지갑을 위협하다: 미국의 보호 무역, 소비 심리에 미칠 영향은? (3) | 2025.05.06 |
미국의 무역 적자 논쟁: 트럼프의 관세 정책, 해법인가 오류인가? (0)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