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울산-경북-경남 지역 산불, 재난대응 체계 강화 및 취약계층 긴급지원 실시

by .알.아.보.자. 2025. 3. 27.
728x90
반응형

2024년 3월 26일, 울산-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재난대응 체계의 확대 및 취약계층에 대한 긴급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오후 5시에 회의를 주재하며, 1,500여 명의 복지시설 입소자들이 대피 조치를 받았음을 알렸다.

보건복지부

이번 산불로 인해 보건복지부는 기존의 재난안전 초기대응반을 확대하여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24시간 상황 모니터링을 통해 의료, 생계, 심리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산불 위험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원과 요양병원 등 취약시설에 대한 24시간 상황 모니터링이 강화되며, 선제적 대피 조치가 시행된다.

반응형

3월 26일 기준으로, 총 52개소에서 1,458명의 환자 및 입소자가 대피 조치를 받았다. 또한,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을 통해 병원 및 병상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한 응급의료 지원을 위해 보건소 신속대응반과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산불 피해로 인해 생계와 주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을 적극 발굴하여 긴급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긴급지원 대상이 아닌 주민들에게는 지방자치단체 및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력하여 필요한 물품 지원이 이루어질 계획이다.

 

또한, 부상자와 유가족, 이재민에 대한 심리지원도 강화된다. 권역별 트라우마센터와 정신건강복지센터가 협력하여 '마음 안심 버스'를 파견하고, 전문인력이 심리상담을 제공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울산 울주군, 경남 산청군·하동군, 경북 의성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에게 건강보험료 경감 및 국민연금보험료 납부 예외 등의 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조규홍 장관은 “각 지자체에서는 산불 우려지역에 있는 대피 취약시설에 대해 긴급 시 선제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피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즉각적인 조치로 산불 피해 주민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